경기도, 지자체 주도 콘텐츠산업 프리랜서 대상 첫 실태조사 발표… 절반 가량은 소득 1천만원 이하, 대부분이 “투잡”

경기콘텐츠진흥원은 지난 1월부터 6월까지 경기도 거주, 또는 경기도 소재의 콘텐츠 9개 분야(출판,영상·방송·광고,게임,만화,애니메이션,지식정보·콘텐츠솔루션,음악,영화,캐릭터)?에서 일하는 프리랜서 281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진행했습니다. 이 결과로 펴낸 ‘2019 경기도 콘텐츠산업 프리랜서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보고서에서는 경기도의 프리랜서 가운데 절반이 연소득 1천만원 이하, 이런 이유로 절반 이상이 투잡으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프리랜서는 자유계약 형태의 특수형태근로자, 또는 고용원이 없는 1인 자영업자로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표한 2017년 자료에 따르면 국내 콘텐츠산업 종사자 가운데 프리랜서는 전체 인원의 35.6%인 157,957명 정도로 추정됩니다. 이번 조사는 콘텐츠산업 종사자 가운데 ‘프리랜서’ 만을 대상으로 한 지자체 주도 실태조사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실태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 281명 중 프리랜서가 가장 많이 종사하는 분야는 출판(14.9%)과 영상·방송·광고(13.2%)였으며 게임 12.5%, 만화 11%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소득 수준은 2018년 1년 동안 연소득을 조사한 결과 절반인 50.2%가 1천만원 이하라고 답했으며 1백만원에서 5백만원 미만인 경우도 33.1%에 달했습니다. 

 

반면 5천만 원 이상의 고소득 프리랜서는 4.3%에 불과했다. 이런 이유로 생계유지를 위해 다른 경제 활동을 병행하는 프리랜서는 52%로 나타나 소득격차가 극심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

 

 

프리랜서를 선택한 주요 이유는 자유로운 업무시간(31.3%)과 선별적 업무 수행(31.3%)이 전체의 62.6%를 차지했습니다. 일감 수주 경로는 52.3%가 인맥으로 나타나 프리랜서의 안정적 소득을 확보할 수 있는 일감 수주 채널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가장 필요한 직무 역량으로는 창의력(35.6%)과 업무관련 지식 및 기술(21.7%)을 꼽았으며 창의력을 키우기 위한 지원 방안으로는 43.1%가 인프라 조성을 꼽아 작업 공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프리랜서에 대한 정책지원으로는 자금(31.5%), 공간(23%), 교육(17.1%) 등을 꼽았으며 개선방안 1순위로는 43.1%가 신청절차 간소화라고 답했습니다.

  

경기도는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지원사업 목표를 ‘프리랜서가 창의인력으로 성장 및 활동할 수 있는 일자리 환경 조성’으로 설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프리랜서 지원 거점공간 운영을 시범사업으로 추진하는 한편 교육, 일감매칭, 네트워킹 등에 대한 다양한 맞춤형 정책을 개발할 방침이라고 전했습니다.

 

경기콘텐츠진흥원 관계자는 “경기도는 지난 7월 ‘경기도 프리랜서 지원조례안’을 제정하는 등 프리랜서 지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추진 중”이라며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콘텐츠 산업 분야의 프리랜서를 위한 실질적 지원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습니다”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프리랜서 일감을 구할 수 있는 오픈마켓 형태의 구인구직 게시판에는 일명 ‘가격 후려치기’가 극심해 평균 단가 등 정보 접근이 불리한 초년생들에게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직종별 단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곳이 필요합니다.? 기본적으로 프리랜서를 ‘싸게 쓰고 버릴 수 있는 노동력’ 정도로 생각하는 업체들이 많다면, 프리랜서의 노동을 통한 생존권은 크게 위협받을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너 아니어도 일 할 사람 많다’는 말을 들어본 적 없는 프리랜서가 드문 현실에서, 과연 어떤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

 

<연관 링크>

* 2019 경기도 콘텐츠산업 프리랜서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바로가기

 

Categories: NEWS
웹인편집부

Written by:웹인편집부 All posts by the author

Leave a reply